한국생산성본부

최근 검색어
인기 검색어
닫기

교육

지수

자격인증

접기/펴기

[자격과정]생산경영MBA

교육상세 옵션정보
교육일정
 
교육시간 12일, 84시간 / 매주 금요일 09:30~17:30
교육장소 한국생산성본부 3층 304호
고용보험 고용보험 비환급 ?
교육비
정상가 1,900,000 원 KPC 유료법인회원 1,710,000 원
교육문의 직무교육센터 (02)724-1804 / FAX (02)724-1868
 

교육시간

매주 금요일 09:30~17:30




교육목적/특징

생산경영MBA는 2003년 1기로 시작하여 생산/제조활동의 기본적인 관리부터 전략적인 생산시스템의 구축, 스마트 제조, ESG혁신까지 

     생산과 관련된 체계적인 업무수행능력을 배양하여 제조기업의 생산경영 핵심역할을 담당하는 생산경영전문가로서의 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

     구성된 국내 유일 제조업 관련 최고급 교육과정입니다.

     현장경험이 풍부한 생산.경영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하는 컨설팅 퍼실리테이션 기반 실습과 알찬 강의를 통해 공장경영 전문가로 거듭나보세요. 

■ 본 과정은  자사 현업에 기반한 맞춤형 생산관리과제 진행을 통해 자사 생산시스템 진단 및 생산경영시스템 구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.

 생산경영MBA과정 수료 및 자격 기준을 통과 시 ’생산경영관리사' 민간등록자격증수여합니다. (등록번호: 제2008-0180호)

 [얼리버드 이벤트] 교육 시작 한달 전까지 신청하신 수강생에게 5만원권 상품권을 증정하고 있습니다. (개강 후 증정)

 

[생산경영 MBA 과정 소개 영상]




교육대상

- 생산/제조부문의 책임자(공장장,부장 등) 및 승진예정자

- 생산관리, 생산기술, 제조혁신 부문 중간관리자 및 실무자
- 제조공장의 생산성 혁신을 담당하는 TFT책임자 및 주요활동을 담당하는 Key-man
- 생산관리부문으로 업무를 전환한 관리자 및 실무자

- 그 외, 공장운영의 과학적 관리와 경영의 핵심역할을 담당하는 '공장경영 전문가'를 희망하는 자




교육내용

 

일자별 교육내용을 나타낸 표입니다.
일자내용

1주차

[생산운영 및 전략]

  • ■ 기업 환경변화와 혁신의 방향성
  • ■ 생산전략과 생산시스템의 유형
  • ■ Operational Excellence를 위한 생산운영의 원칙
  • ■ 생산경영의 핵심 프로세스 Overview

2주차

[생산시스템 진단 및 목표 수립]

  • ■ 생산시스템 모델 이해 및 진단 방법론
  • ■ 자사 생산시스템 수준 자가 진단 [실습]
  • ■ 자사 생산시스템 혁신방안 제출 과제 소개

3주차

[SCM]

  • ■ 고객가치 증대를 위한 SCM의 접근방법
  • ■ 제조부문을 위한 SCM핵심-S&OP프로세스
  • ■ SCM구현을 위한 Process Reengineering의 방향성
  • ■ 글로벌 비즈니스에 성공한 SCM 추진기업 사례

4주차

[생산조직 및 성과관리]

  • ■ 기술혁명과 조직혁신 그리고 인적자원관리 방향
  • ■ 생산조직 가치체계 정립 방안
  • ■ 생산조직의 조직관리 및 개인 성과관리
  • ■ 조직관리의 핵심-리더십 이야기

5주차

[설비자산관리]

  • ■ 설비자산관리(EAM)를 통한 뉴 패러다임
    ■ 설비관리 전략과 디지털 전환
    ■ 설비관리 전술과 보전방식의 재설계
    ■ 설비 퍼포먼스 극대화와 보전비용 적정화

6주차

[안전관리]

  • ■ 생산현장의 작업자 행동 특성
  • ■ 휴먼에러와 다중 방호벽
  •    - 휴먼에러의 이해와 현장에서의 다중 방호
  • ■ 작업장의 잠재위험 분석과 대책
  • ■ 중대재해처벌법의 올바른 이해

7주차

[생산성 혁신]

  • ■ 노동생산성(인적Loss)분석 및 관리방안
    ■ 설비생산성(설비Loss)분석 및 관리방안
    ■ 자재생산성(자재Loss)분석 및 관리방안
    ■ 생산성 혁신 핵심 포인트

8주차

[혁신 역량 세미나]

  • ■ 역량에 대한 이해 및 프레임워크 소개
    ■ (RQ-관계 역량) 커뮤니케이션 스킬 Level-up
    ■ (IQ-진단 역량) 문제 정의 및 해결 워크숍
  • ■ (CQ-창의 역량) 의사결정 프레임워크

9주차

[품질관리]

  • ■ 자공정품질보증(Built-In-Quality)의 개념과 구현 방안
  • ■ 외주 협력업체 관리 및 수입부품 품질관리
    ■ 표준설정 및 양산공정 품질관리
    ■ 신속대응과 문제해결을 통한 품질개선

10주차

[혁신 트렌드 연구]

  • ■ 디지털 혁신을 위한 올바른 Data 수집,연결, 저장 
  • ■ 사전 품질관리를 위한 핵심 Logic과 (AI) 최적화
  • ■ 재고 최적화를 위한 기본 Logic과 (AI) 최적화
  • ■ 설비 예지보전을 위한 Parameta Data 수집과 구현

11주차

[원가관리]

  • ■ 제조기업(원가)관리시스템의 이슈와 원인, 해결방안
  • ■ 표준원가관리 필요성과 프로세스 도입의 필수 고려사항
  • ■ 제조원가 기본 개념의 이해와 원가요소별 산출 방법
  • ■ 제조기업 원가관리시스템 구축의 바람직한 방향과 고려사항

12주차

[종합 특강 및 자격시험]

  • ■ 자사 생산시스템 혁신방안 결과물 공유 워크숍
  • ■ 프로세스 부문 자사 개선방안 공유 워크숍
  • ■ 생산성 혁신 업종별 우수기업 사례 소개
    - 시험 및 생산경영MBA교류회

 

수강후기

cc****

2024-07-12

최근동향 이해잘됨
wo****

2024-07-12

전문적인 지식으로 교육을. 하시여 많은 도움이 되었읍니다
wo****

2024-07-12

강의 전문지식으로. 교육생들이집중할수 있도록 하시고 많은 도움이. 되었으며. 교육에 만족합니다
AP****

2024-07-12

회사 공장부문 운영 전체에 대한 흐름과 이해를 통해 각 부서 업무 추진에 있어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게 도와줌
ko****

2024-07-12

1. 제조에 대한 전반적이고 폭넓은 지식 배울 수 있음. 2. 타 제조업에 대한 이해와 인맥을 형성 할 수 있음. 3. 회사내 성장 또는 개인 창업에도 큰 도움이 됨.

연관 자격

자격증명 자격증관련링크

[자격과정]생산경영MBA

2025-04-18~2025-07-18

 
한국생산성본부

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위한 한국생산성본부 교육과정 상세 안내

과정명 : [자격과정]생산경영MBA

교육일정 2025-04-18 ~ 2025-07-18 교육시간 09:30 : 17:30 교육장소 한국생산성본부 3층 304호
교육비 지원 고용보험 비환급 담당자 직무교육센터 (02)724-1804 / FAX (02)724-1868

교육비

정상가 KPC회원(일반,특별)
1,900,000원 1,900,000원 1,710,000원

※ 2일이하 과정은 산업인력공단 실시신고 등록마감으로 인해 훈련 개시 1일전(근무일기준) 18:00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상세안내

교육시간

매주 금요일 09:30~17:30

교육목적/특징

생산경영MBA는 2003년 1기로 시작하여 생산/제조활동의 기본적인 관리부터 전략적인 생산시스템의 구축, 스마트 제조, ESG혁신까지 

     생산과 관련된 체계적인 업무수행능력을 배양하여 제조기업의 생산경영 핵심역할을 담당하는 생산경영전문가로서의 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

     구성된 국내 유일 제조업 관련 최고급 교육과정입니다.

     현장경험이 풍부한 생산.경영 분야의 전문가와 함께하는 컨설팅 퍼실리테이션 기반 실습과 알찬 강의를 통해 공장경영 전문가로 거듭나보세요. 

■ 본 과정은  자사 현업에 기반한 맞춤형 생산관리과제 진행을 통해 자사 생산시스템 진단 및 생산경영시스템 구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.

 생산경영MBA과정 수료 및 자격 기준을 통과 시 ’생산경영관리사' 민간등록자격증수여합니다. (등록번호: 제2008-0180호)

 [얼리버드 이벤트] 교육 시작 한달 전까지 신청하신 수강생에게 5만원권 상품권을 증정하고 있습니다. (개강 후 증정)

 

[생산경영 MBA 과정 소개 영상]

교육대상

- 생산/제조부문의 책임자(공장장,부장 등) 및 승진예정자

- 생산관리, 생산기술, 제조혁신 부문 중간관리자 및 실무자
- 제조공장의 생산성 혁신을 담당하는 TFT책임자 및 주요활동을 담당하는 Key-man
- 생산관리부문으로 업무를 전환한 관리자 및 실무자

- 그 외, 공장운영의 과학적 관리와 경영의 핵심역할을 담당하는 '공장경영 전문가'를 희망하는 자

교육내용

 

일자별 교육내용을 나타낸 표입니다.
일자내용

1주차

[생산운영 및 전략]

  • ■ 기업 환경변화와 혁신의 방향성
  • ■ 생산전략과 생산시스템의 유형
  • ■ Operational Excellence를 위한 생산운영의 원칙
  • ■ 생산경영의 핵심 프로세스 Overview

2주차

[생산시스템 진단 및 목표 수립]

  • ■ 생산시스템 모델 이해 및 진단 방법론
  • ■ 자사 생산시스템 수준 자가 진단 [실습]
  • ■ 자사 생산시스템 혁신방안 제출 과제 소개

3주차

[SCM]

  • ■ 고객가치 증대를 위한 SCM의 접근방법
  • ■ 제조부문을 위한 SCM핵심-S&OP프로세스
  • ■ SCM구현을 위한 Process Reengineering의 방향성
  • ■ 글로벌 비즈니스에 성공한 SCM 추진기업 사례

4주차

[생산조직 및 성과관리]

  • ■ 기술혁명과 조직혁신 그리고 인적자원관리 방향
  • ■ 생산조직 가치체계 정립 방안
  • ■ 생산조직의 조직관리 및 개인 성과관리
  • ■ 조직관리의 핵심-리더십 이야기

5주차

[설비자산관리]

  • ■ 설비자산관리(EAM)를 통한 뉴 패러다임
    ■ 설비관리 전략과 디지털 전환
    ■ 설비관리 전술과 보전방식의 재설계
    ■ 설비 퍼포먼스 극대화와 보전비용 적정화

6주차

[안전관리]

  • ■ 생산현장의 작업자 행동 특성
  • ■ 휴먼에러와 다중 방호벽
  •    - 휴먼에러의 이해와 현장에서의 다중 방호
  • ■ 작업장의 잠재위험 분석과 대책
  • ■ 중대재해처벌법의 올바른 이해

7주차

[생산성 혁신]

  • ■ 노동생산성(인적Loss)분석 및 관리방안
    ■ 설비생산성(설비Loss)분석 및 관리방안
    ■ 자재생산성(자재Loss)분석 및 관리방안
    ■ 생산성 혁신 핵심 포인트

8주차

[혁신 역량 세미나]

  • ■ 역량에 대한 이해 및 프레임워크 소개
    ■ (RQ-관계 역량) 커뮤니케이션 스킬 Level-up
    ■ (IQ-진단 역량) 문제 정의 및 해결 워크숍
  • ■ (CQ-창의 역량) 의사결정 프레임워크

9주차

[품질관리]

  • ■ 자공정품질보증(Built-In-Quality)의 개념과 구현 방안
  • ■ 외주 협력업체 관리 및 수입부품 품질관리
    ■ 표준설정 및 양산공정 품질관리
    ■ 신속대응과 문제해결을 통한 품질개선

10주차

[혁신 트렌드 연구]

  • ■ 디지털 혁신을 위한 올바른 Data 수집,연결, 저장 
  • ■ 사전 품질관리를 위한 핵심 Logic과 (AI) 최적화
  • ■ 재고 최적화를 위한 기본 Logic과 (AI) 최적화
  • ■ 설비 예지보전을 위한 Parameta Data 수집과 구현

11주차

[원가관리]

  • ■ 제조기업(원가)관리시스템의 이슈와 원인, 해결방안
  • ■ 표준원가관리 필요성과 프로세스 도입의 필수 고려사항
  • ■ 제조원가 기본 개념의 이해와 원가요소별 산출 방법
  • ■ 제조기업 원가관리시스템 구축의 바람직한 방향과 고려사항

12주차

[종합 특강 및 자격시험]

  • ■ 자사 생산시스템 혁신방안 결과물 공유 워크숍
  • ■ 프로세스 부문 자사 개선방안 공유 워크숍
  • ■ 생산성 혁신 업종별 우수기업 사례 소개
    - 시험 및 생산경영MBA교류회

 

한국생산성본부

우) 03170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5가길 32 생산성빌딩
Copyright ⓒ Korea Productivity Center. All Rights Reserved.